복(伏)날, 닭을 잡아야 하는 이유 | 마이퍼즐

매거진 퍼즐Magazine PUZZLE

매거진 퍼즐
시즌

복(伏)날, 닭을 잡아야 하는 이유

“伏(복)날 최고의 몸보신 음식”

“닭을 잡는 이유, 바로 이것 때문”


여름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복날,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부분은 복날이면 삼계탕이나 닭 요리 혹은 몸보신을 위한 음식을 머릿속에 떠올리게 됩니다. 삼복은 한자로는 三伏이라고 쓰는데 이는 “세 번 엎드린다”라는 뜻으로, 여름의 더운 기운이 너무 강해서 가을의 서늘한 기운이 3번 굴복하여 엎드린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삼복은 일 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보통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해당됩니다. 사람들이 더워지면 차가운 음식을 찾게 되는데, 이는 오히려 몸 밖은 덥고 안은 차가워지면서 위장 기능이 약해지고 기력을 쉽게 잃게 되어 질병에 노출되기 쉬운 상태로 만들게 됩니다. 따라서 더울수록 몸 안에 열을 내도록 하는 음식이 더위에 지친 몸을 회복하고 위장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무더위에 먹으면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식으로 대표적인 것이 바로 “삼계탕”입니다.

꼬꼬댁~ 일루와!!!

삼계탕은 사실 복날이 아니더라도 질병이나 출산 후 회복하는 과정에 있는 사람들이 기운을 회복하기 위해 찾는 음식이기도 합니다. 삼계탕의 주 재료인 닭에 대한 기록은 청동기 시대부터지만, 삼계탕에 대한 기록은 조선시대 문헌에서도 찾아보기 힘들고 일제강점기에 부잣집에서 닭백숙, 닭 국에 인삼가루를 넣어먹는 것이 삼계탕의 시초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 형태의 삼계탕은 1960년대 이후부터 먹기 시작하였고, 1970년대 이후 대중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닭고기에는 단백질, 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이 풍부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필수아미노산과 나이아신(비타민B3)이 풍부하여 근력을 유지하고 에너지 대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꼭 삼계탕이 아니더라도 닭고기는 몸의 기운을 북돋고 영양을 보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식품이므로 다양한 조리방법을 활용하여 섭취해도 무관합니다. 그러나 되도록이면 기름에 튀기거나 직화로 굽는 방법보다는 끓이거나 삶는 조리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닭고기의 영양적 장점을 살리고 더욱 건강하게 섭취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닭고기 요리할 때 꼭 주의하세요! -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 생닭을 씻을 때는 다른 재료에 물이 튀지 않게 / 칼과 도마의 사용은 채소 먼저 한 후 생닭 순서로 진행 / 닭고기 속까지 충분히 익히고, 전자레인지로 요리하지 않기(음식을 데우는 용도는 가능) / 생닭을 만진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닦기

[참고 자료]
1. 식품안전정보포털 식품안전나라 (www.foodsafetykorea.go.kr)
2. 농촌진흥청, 보도자료 “알고 먹으면 더 맛있는 삼계탕”, 2018.07.16.
3. 국가암정보센터 (www.cancer.go.kr)

마이퍼즐은 당신의 라이프스타일, 생활습관을 꼼꼼하게 분석하여 개인에게 꼭 필요한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합니다.


 마이퍼즐 건강자문단 임상영양사 박기순

삼복 복날 삼계탕 몸보신 닭고기 영양
2
목록

회원정보 업데이트

건강설문 및 원활한 상담을 위해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생년월일

성별